- 근접성의 법칙
- mental model
- UX Psychology
- 넛지효과
- 피그마단축키
- IKEA Effect
- 프레임 이해
- Fitts’s law
- Jakob’s Law
- 고객여정지도
- DataDriven
- Zeigarnik Effect
- 밀러의 법칙
- 피그마 플러그인
- UXUI부트캠프
- 유저페르소나
- UX개선사례
- 모바일 버튼 크기
- 모달의 개념
- Doherty threshold
- 제이콥의 법칙
- 스파르타코팅 UXUI
- Goal-Gradient Effect
- UXUI개선
- process flow
- 공통영역의 법칙
- Mental model discordance
- 5whys
- 피그마 프로토타이핑
- UXUI리뷰
목록전체 글 (39)
Happiness!
모바일 버튼 크기 규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다. 적절한 버튼 크기는 사용자 편의성, 접근성, 디자인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1. 사용자 편의성: 버튼 크기가 너무 작으면 사용자가 누르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손가락이 큰 사용자나 시력이 나쁜 사용자에게는 더욱 어려울 수 있다. 버튼 크기가 너무 크면 화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다른 요소들이 밀려나거나 보기 어려워질 수 있다. 적절한 버튼 크기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쉽게 누를 수 있고, 화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접근성: 다양한 사용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에서는 버튼 크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권장사항을 제시한다. -..
UX(User Experience)와 UI(User Interface) 개선은 신규 고객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긍정적인 UX/UI 경험은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결국 신규 고객 확보로 이어진다. 1. 첫인상 향상: 사용자는 처음 접하는 사이트 또는 앱의 UX/UI를 통해 서비스에 대한 첫인상을 형성한다. 매력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UX/UI는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첫인상을 심어주고, 서비스 이용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반대로, 불편하고 복잡한 UX/UI는 사용자에게 부정적인 첫인상을 심어주고, 서비스 이용을 포기하게 만들 수 있다. 2. 사용자 참여도 증가: 긍정적인 UX/UI 경험은 사용자의 참여도를 높인다. 사용자는 사용하기 쉽고 즐거운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고 싶어하며,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보통 아래 네가지 분류에 해당한다. 1. Input Controls 2. Navigation Components 3. Informational Components 4. Containers ▹ Input Controls은 유저가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주로 회원가입, 프로필 관리 등에 사용되는 UI 요소) ▹ Navigational Components는 유저가 제품 또는 웹사이트에서의 이동을 안내한다. (IOS의 탭 바, 안드로이드의 햄버거 메뉴 등) ▹ Informational Components는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 Containers는 관련된 컨텐츠들을 함께 묶어놓는 역할을 한다. 1. 인풋 필드 (Input Field) 사용자가 문자나 숫자 정보를 작..
기다리고 기다리던 웹 개발 강의까지 달려왔다. (이번주 강의를 마지막으로 이후 프로젝트 제작 세션만 남아있음) 이번주는 개인적으로 작업해야 하는 일이 있어서 일정이 매우x3 빠듯하다. - 오늘은 전 직장 동료들과 한꺼번에 우르르 연락이 되어서 안부 인사하는데 반가운 하루였다. 바로 전 직장에서 좋은 동료들을 많이 만난 덕분에 위로도 받고 공감도 받을 수 있는 사이가 많아졌다. 늘 어두운 면보다 밝은 면을 보게 해주고, 긍정적인 에너지로 대화를 이어나가게 해주는 사람들 덕분에 힘이 났던 하루이다. 사실 직장을 쉬고 공부를 하는게 쉽지만은 않다. 현재도 잘나가고 있는 중견 기업으로의 이직 기회를 두번이나 포기했었던 지난 날의 내 선택에 대한 후회가 밀려올 때도 있다. 이런 후회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현재 나의..
1. 네이티브앱 네이티브앱은 스마트폰의 OS가 제공하는 툴과 언어들 기반으로 하기에 높은 사양의 그래픽과 성능을 가진다. 그만큼 앱의 구동 속도도 빠르다. 스마트폰 전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기에 주소록과 캘린더 등 고유의 정보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구글이나 아이폰 등 OS별로 앱을 개발해야 하기에 앱을 만들 때 기간이나 비용이 많이 드는 편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웹앱'(Web App)이 탄생했다. 2. 웹앱 : 모바일 웹을 통해 특정 홈페이지에 들어가기만 해도 앱처럼 구현되는 일종의 유사 앱이다. 실제로 웹앱은 굳이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웹앱은 웹 기술만을 이용해 풀 스크린 모드와 애니메이션 효과, 터치 상호작용, 비동기 통신, 로컬 저장소 등을 구현한다..
유저 리서치는 서비스 또는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진행한다.유저 리서치 방법론으로는 심층 인터뷰가 있다.유저 리서치 방법은 정성적, 정량적인 방법 또는 사용자의 행동, 태도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심층 인터뷰는 정성적인 방법이자, 사용자의 태토를 알 수 있는 유저 리서치 방법이다.닐슨 노먼 그룹이 만든 3차원 프레임 워크*를 통해 유저리서치 방법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여러 사용자 리서치 방법을 사용자의 행동과 태도, 접근 방식, 사용 맥락의 기준으로 나눈 차트이다.유저 리서치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뉴스젤리의 포스팅에서 확인심층 인터뷰를 하는 이유?인터뷰를 통해 사용자가 서비스 사용 시 느끼는 감정을 파악하고 서비스의 문제점을 찾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는 문제점을 찾아 개선 방향을 도출..
서비스를 분석하는 첫번째 단계는 고객을 만나고 고객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비스를 만들거나 분석할 때, 유저 페르소나와 저니맵(고객 여정지도)을 활용할 수 있다. 여신티켓 앱의 유저의 페르소나를 분석하고, 사용자 경험의 시나리오를 토대로 여정지도를 만들어 보았다.
"로톡"은 법률서비스 플랫폼이다. 서민들에게 특히나 어려운 법률 전문 상담을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렇다면, "로톡"의 유저들은 법률 상담을 받기 위한 '글쓰기'가 가장 중요한 핵심 행동이다. 이 서비스의 주 사용자 행동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 법률적 상담이 필요하다. > 2. 로톡 앱에 진입한다. > 3. 상담을 위한 [글쓰기] 메뉴를 찾는다. > 4. 글을 쓴다. > 5. 답변을 기다린다. 그러므로, 앱에 진입하는 순간부터, 글을 쓰는 과정까지 심리스한 UX가 제공되어야 한다. 개선 전의 문제점은 글쓰기 단계가 길고 불편하다는 점이었다. 문제점. 글쓰기 메뉴가 한눈에 보이지 않아 상세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했고, 글쓰기 버튼을 클릭하면, 안내 페이지가 캐러셀로 5개의..